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DNS와 호스팅의 차이점 정리 – 도메인과 웹사이트 연결의 핵심

by 점퍼루 2025. 5. 13.

처음으로 웹사이트를 만들거나 블로그를 시작할 때 가장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DNS와 호스팅의 차이입니다. 도메인도 사고, 호스팅도 가입하고, DNS 설정도 해야 한다는데… 이 모든 것들은 도대체 어떤 역할을 하는 걸까요? 이 글에서는 웹사이트 구축에 필요한 핵심 개념인 DNS웹 호스팅의 차이점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합니다. 웹사이트를 직접 만들거나,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개념입니다.

DNS란 무엇인가?

DNS(Domain Name System)는 우리가 www.example.com과 같은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이 연결된 실제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DNS는 웹사이트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전화번호 대신 사람 이름을 입력하면 전화번호를 찾아주는 것처럼,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해줍니다.

  • 도메인 주소(Domain Address): 사람이 읽기 쉬운 주소 (예: google.com)
  •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컴퓨터가 실제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숫자 주소 (예: 216.58.200.14)

호스팅이란 무엇인가?

웹 호스팅(Web Hosting)은 웹사이트의 실제 파일(HTML,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하고, 인터넷 상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버 공간입니다. 즉, 누군가가 당신의 도메인을 통해 사이트에 접속할 때, 실제로 보여줄 콘텐츠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 바로 호스팅입니다.

  • 호스팅 업체: 카페24, 아마존 AWS, 고대디, Bluehost 등
  • 호스팅 종류: 공유 호스팅, VPS, 클라우드 호스팅 등

DNS와 호스팅의 차이점 정리

구분 DNS 호스팅
기능 도메인 → IP 주소로 변환 웹사이트 콘텐츠를 저장하고 제공
비유 주소록 건물 (실제 공간)
설정 위치 도메인 등록기관 or DNS 제공업체 웹호스팅 서비스 제공자
사이트 필수 여부 있어야 접속 가능 없으면 콘텐츠가 없음

도메인 + DNS + 호스팅의 관계

다음은 도메인, DNS, 웹 호스팅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간단한 흐름입니다:

  1. 도메인 구입 (예: myblog.com)
  2. DNS 설정에서 해당 도메인이 연결될 IP(호스팅 서버 주소)를 입력
  3. 방문자가 myblog.com에 접속 → DNS가 IP 주소로 변환 → 호스팅 서버에서 콘텐츠 전달

이처럼 DNS와 호스팅은 각각의 역할이 있으며, 하나라도 빠지면 웹사이트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정리

DNS는 도메인을 IP로 연결해주는 안내자, 호스팅은 실제 웹사이트의 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두 요소가 함께 작동함으로써 우리는 웹사이트를 전 세계에 공개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처음 사이트를 만들 때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면 이후 도메인 연결이나 사이트 이전도 훨씬 수월해집니다.

※ 본 글은 2025년 기준 최신 웹 인프라 구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